대학 내 집단연구 지원, 대학의 연구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져야
|
과학기술정보통신부(장관 유상임, 이하 과기정통부)는 정부와 연구계가 참여해 기초연구의 질적 고도화를 위한 전략을 도출하는 ‘제3차 기초연구 전략대화’를 개최했다고 2일 밝혔다.
이번 ‘제3차 기초연구 전략대화’는, 기초연구 이상(비전) 을 다룬 ‘제1차 기초연구 전략대화’(2.19) 및 ‘개인기초연구’ 지원체계 를 논의한 ‘제2차 기초연구 전략대화’(3.12)에 이어, ‘대학 연구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집단연구 지원체계’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.
① 대학 내 집단연구의 의의
먼저, 참석자들은 연구조직의 경쟁력이 곧 대학의 연구경쟁력이라며, 대학 내 집단연구지원의 필요성에 뜻을 같이 하였다. 특히, 집단연구는 개인연구에 비해 연구범위가 넓고 연구 성과의 파급력이 큰 반면, 조정비용과 협력을 위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특성이 있다며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지원 필요성에 공감하였다. 아울러, 정부의 기초연구 지원 중 개인연구에 비해 다소 저조한 집단연구 규모와 증가세를 지적하기도 하였다.
※ 과기정통부기초연구 지원 규모(조원): (개인연구)(‘15)0.59→(‘25)1.91/(집단연구)(‘15)0.15→(‘25)0.43
② 국내 집단연구의 과거, 그리고 현재
우리나라 집단연구는 ’90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(당시 과학기술처)의 우수연구센터(현 선도연구센터) 사업을 통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현재의 다양한 지원체계를 갖추게 되었다.
③ 집단연구 지원체계 혁신의 방향
집단연구의 철학 : 집단연구는 집단연구답게
참석자들은 집단연구는 단순히 연구자가 모여 각자의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넘어,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과 기술을 결합하여 도전적이고 파괴력 있는 연구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. 이에 참석자들은 정체되어 있는 연구비의 상향 조정, 참여 대학 간 지식재산권(IP)의 공동 소유 및 활용 촉진, 참여 연구인력에 대한 규제(최소 참여 인력 등) 완화 등 보다 실질적인 집단연구가 가능한 지원체계 개편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데 공감하였다.
※ 선도연구센터 중 이학연구센터(SRC 센터)별 지원 규모: (‘90)10억(년), 총 90억 원→(’24)15.6억(년), 총 109억 원
집단연구의 성장 : 대학의 연구경쟁력 향상으로 이어져야
참석자들은 정부의 집단연구 지원체계가 연구그룹의 성장(연구의 범위, 참여 인력 등)과 더 나아가 연구그룹의 조직화 및 대학 내 거점화로 이어져야 한다는 데 공감하였다. 보다 구체적으로는 규모에 따른 연구그룹의 성장(소규모→중규모→대규모)과 조직화를 체계적으로 지원(‘가칭성장형 분야(트랙)’)하는 한편, 우수한 연구그룹의 보다 심화된 연구를 지원하는 후속연구에 대한 지원도 더욱 강화(‘가칭심화형 분야(트랙)’)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였다.
한편, 참석자들은 국내 대학의 취약한 연구거점(예시: 연구소)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국가연구소 2.0(NRL2.0*) 사업과 같은 대형·융복합 연구거점으로서의 연구소 지원 사업 추진이 필수적이라는 데 공감하였다. 아울러, 대학 본부 차원의 연구소 육성 의지와 연계된 국가연구소 2.0(NRL2.0) 사업 추진 방식(“전략형”)과 차별화된 선도적 연구 그룹의 성장과 조직화 및 거점화를 지원하는 방식(“진화형”)의 접근도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.
* 국가연구소 2.0(National Research Laboratory 2.0) : 세계 최초·최고 수준의 연구를 선도하는 탁월한 대학부설연구소를 육성하기 위해 과기정통부와 교육부가 공동 추진(연 100억원, 10년 지원)
집단연구 지원 : 차별화된 지원체계를 갖춰야
참석자들은 현 집단연구지원사업이 사업별 목적과 특성에 맞는 보다 차별화된 지원 및 관리체계를 갖추어야 한다는 데 공감하였다. 학문분야별 특성(자연과학, 공학, 의약학 등)에 부합하도록 지원의 목적을 분명히 하는 한편, 지원의 구체적인 내용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는 데 참석자들의 의견이 모아졌다.
한편, 참석자들은 현재의 정부 집단연구지원 사업 이외에도 특정 학문분야 및 연구주제를 뛰어넘어 일반적인 연구기반 확충(신임 교원의 정착, 연구 전담인력 확보, 연구 시설 및 장비의 안정적 운영 등)을 위한 대학 단위의 지원체계 마련도 중장기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다.
④ 앞으로의 계획 : 제4차 기초연구 전략대화
정부는 제3차 기초연구 전략대화에서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집단연구지원사업의 개편안을 구체화하고 학계 및 연구현장과의 소통도 지속할 계획이다. 한편, 제1~3차 기초연구 전략대화에 이어 ‘제4차 기초연구 전략대화’는 ‘책임있는 기초연구와 성숙한 연구문화’를 주제로 4월 말 개최될 예정이다.
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“기초연구 전략대화를 통해 ‘집단연구 다운 집단연구’, ‘대학의 경쟁력 향상에 기여하는 집단연구’를 위한 실질적인 집단연구 지원체계 개선방향을 모색할 수 있었다”며 “기초연구 전략대화를 통해 제시된 정책 대안들을 속도감 있게 구체화하고 ’26년 예산 편성 단계부터 적극 반영해 나갈 것”이라고 밝혔다.